
분기역 선정 점수 세부항목(2005. 12. 22 국토연구원 공청회 자료 p56)
제가 12월 22일에 안양 국토연구원 지하1층 강당에서 소리소문 없이 열린 "호남고속철도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공청회"에 간 건 아닙니다.
하지만 마루에그린비님께서 자료를 제공해 주신 덕분에, 이 자료를 쳐서 올릴 수 있었습니다.
평가항목의 각 점수는 가중치A * 가중치B를 하면 됩니다. 가중치A는 기본평가항목의 항목 점수의 소계라는 것 정도는 알고 계시겠지요.
국가 및 지역발전효과(가중치A 33.28)
상위계획과의 연계성(가중치B 51.83)
제 4차 국토계획 등에 나타난 대상지역의 장래 개발계획과의 연계성을 평가
호남권 등 국토균형발전효과(가중치B 26.83)
호남권을 포함하는 국토전반의 균형발전에 미치는 긍정적, 부정적 효과를 평가
충청권 발전효과(가중치B 10.74)
충청권내 낙후지역의 발전에 미치는 파급효과와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를 평가
행정중심복합도시의 관문성(가중치B 10.60)
행정중심복합도시의 이용편리성 및 상징 정도를 평가
교통성(가중치A 27.71)
호남권 등 지역간 이동성(가중치B 60.59)
분기역 위치에 따른 전국 광역시·도청간 이동 용이성과 접근성 개선효과를 평가
충청권내에서의 접근성(가중치B 10.00)
충청권내 주요도시에서 고속철도 분기역까지의 접근용이성을 평가
국가 간선철도망의 형성 및 정합성(가중치B 29.41)
한반도 전체 간선철도망 및 국제간 상호 연계를 고려한 정합성 평가
사업성(가중치A 12.23)
경제성(가중치B 71.79)
- 비용·편익비(B/C) : 충 편익을 총 비용으로 나눈 값
- 순현재가치(NPV) : 총 편익과 총 비용의 차(B-C)
- 내부수익률(IRR) : 비용과 편익을 동일하게 만드는 할인율
- 교통수요 : 각 후보지별 분기역 설치시 장래 수요
재무성(가중치B 19.65)
- 재무적 순현재가치(FNPV) : 총 수익과 총 비용의 차(R-C)
- 재무적 내부수익률(FIRR) : 비용을 예상수익과 동일하게 만드는 할인율
건설 및 유지관리비용(가중치B 8.56)
- 토지취득비 : 토지매입비, 지장물보상비, 권리보상비
- 공사비 : 건설비(설계비, 감리비 포함), 예비비, 연계시설사업비
- 유지관리비 : 시설물유지비, 차량구입비, 열차운영비
환경성(가중치A 19.47)
생태계(가중치B 26.94) : 생태계훼손 가능성 정도 평가
수질(가중치B 17.64) : 수질에 미치는 영향 정도 평가
소음/진동(가중치B 14.10) : 소음/진동의 영향 정도 평가
문화재/경관(가중치B 16.05) : 문화재 보전에 유리한 정도 평가
토지이용(가중치B 13.23) : 절대보전지역 등에 미치는 영향 정도 평가
지형/지질(가중치B 12.04) : 지형/지질학적 보전 정도 평가
건설의 용이성(가중치A 7.31)
선형조건(가중치B 60.35)
- 노선의 최소 곡선반경, 최급구배 비교
- 노선 연장 등 비교
정차장 입지조건(가중치B 30.42)
- 도시계획에 장래 확장 가능 여부
- 정거장 설비 설치여부 및 가능성
- 평면/고가정거장 등 주변 입지조건을 고려한 정거장의 설치 가능여부
시공의 난이도와 시공기술(가중치B 9.24)
- 지하수 심도
- 장대교량, 장대터널 등 고난도 시공기술
상위계획과의 연계성(가중치B 51.83)
제 4차 국토계획 등에 나타난 대상지역의 장래 개발계획과의 연계성을 평가
호남권 등 국토균형발전효과(가중치B 26.83)
호남권을 포함하는 국토전반의 균형발전에 미치는 긍정적, 부정적 효과를 평가
충청권 발전효과(가중치B 10.74)
충청권내 낙후지역의 발전에 미치는 파급효과와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를 평가
행정중심복합도시의 관문성(가중치B 10.60)
행정중심복합도시의 이용편리성 및 상징 정도를 평가
교통성(가중치A 27.71)
호남권 등 지역간 이동성(가중치B 60.59)
분기역 위치에 따른 전국 광역시·도청간 이동 용이성과 접근성 개선효과를 평가
충청권내에서의 접근성(가중치B 10.00)
충청권내 주요도시에서 고속철도 분기역까지의 접근용이성을 평가
국가 간선철도망의 형성 및 정합성(가중치B 29.41)
한반도 전체 간선철도망 및 국제간 상호 연계를 고려한 정합성 평가
사업성(가중치A 12.23)
경제성(가중치B 71.79)
- 비용·편익비(B/C) : 충 편익을 총 비용으로 나눈 값
- 순현재가치(NPV) : 총 편익과 총 비용의 차(B-C)
- 내부수익률(IRR) : 비용과 편익을 동일하게 만드는 할인율
- 교통수요 : 각 후보지별 분기역 설치시 장래 수요
재무성(가중치B 19.65)
- 재무적 순현재가치(FNPV) : 총 수익과 총 비용의 차(R-C)
- 재무적 내부수익률(FIRR) : 비용을 예상수익과 동일하게 만드는 할인율
건설 및 유지관리비용(가중치B 8.56)
- 토지취득비 : 토지매입비, 지장물보상비, 권리보상비
- 공사비 : 건설비(설계비, 감리비 포함), 예비비, 연계시설사업비
- 유지관리비 : 시설물유지비, 차량구입비, 열차운영비
환경성(가중치A 19.47)
생태계(가중치B 26.94) : 생태계훼손 가능성 정도 평가
수질(가중치B 17.64) : 수질에 미치는 영향 정도 평가
소음/진동(가중치B 14.10) : 소음/진동의 영향 정도 평가
문화재/경관(가중치B 16.05) : 문화재 보전에 유리한 정도 평가
토지이용(가중치B 13.23) : 절대보전지역 등에 미치는 영향 정도 평가
지형/지질(가중치B 12.04) : 지형/지질학적 보전 정도 평가
건설의 용이성(가중치A 7.31)
선형조건(가중치B 60.35)
- 노선의 최소 곡선반경, 최급구배 비교
- 노선 연장 등 비교
정차장 입지조건(가중치B 30.42)
- 도시계획에 장래 확장 가능 여부
- 정거장 설비 설치여부 및 가능성
- 평면/고가정거장 등 주변 입지조건을 고려한 정거장의 설치 가능여부
시공의 난이도와 시공기술(가중치B 9.24)
- 지하수 심도
- 장대교량, 장대터널 등 고난도 시공기술
이거 보고 할 말을 잃었습니다.
오송을 향한 의도적 조작이 아닌가, 저는 이 생각부터 들더란 말입니다. 어떻게 생태계 영향에서 오송이 천안아산을 1점 이상 앞설 수 있다는 것입니까?
며칠 후에 몇 가지 더 올리도록 하겠습니다. ^^